Wireless and Mobile Networks.

두 가지 중요한 과제가 있다.

802.11

infrastructure mode

유선 기지국과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

ad hoc mode

기지국과 같은 base station 없이 인접한 node들과의 무선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


이상적인 네트워크: mesh net
그러나 우리가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star형 인터넷 (비용이슈)

무선 링크의 특징:
유선 링크에 비해 신호세기 약함.

802.11 (wifi)
base station = access point (AP)

SSID: AP의 이름

passive scanning

AP가 beacon frame을 브로드캐스트로 수시로 뿌림: 우리 폰에 wifi 목록이 뜨는 이유
-> 비콘에는 암호화 방식 등의 정보가 포함되므로, 보안이 중요한 경우에는 패시브를 끈다.

active scanning

호스트가 Probe Request 패킷을 브로드캐스트로 수시로 뿌림: 한번 접속하면, 인근만 가도 자동으로 접속되는 이유

무선환경에서의 충돌

CSMA (Carrier Sense Multiple Access)

  • 말하기 전에 듣는다.
    노드는 전송하기 전에 채널을 듣는다. 이를 캐리어 감지carrier sensing라 하며, 다른 노드가 채널을 사용 중일 시 랜덤한 시간 후에 감지를 반복한다. 채널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, 즉시 패킷(프레임)을 전송한다.

  • 다른 사람이 동시에 말하기 시작하면 말을 멈춘다.
    노드는 전송하면서 동시에 채널을 듣는다. 이를 충돌 검출collision detection이라 하며, 다른 노드가 채널을 사용 중일 시 랜덤한 시간 후에 충돌 검출을 반복한다.

  • CSMA/CD (/Collision Detect) <- 유선 충돌 탐지

  1. 캐리어 감지 후 채널 사용 중일 시 잼 신호 브로드캐스트.
  2. CRC값을 검사 후 이상이 있을 경우 폐기 (collision detection)
  3. 전송을 못했을 경우, Back-off 알고리즘에 따라 랜덤한 시간 후 재시도.
  • CSMA/CA (/Collision Avoid) <- 무선 충돌 회피
  1. Carrier Sense: 통신 전 채널 듣기(탐색)
  2. Multiple Access: Data의 흐름 감지
  3. Collision Avoidance: Data 흐름 x -> 예비신호를 통해 충돌 회피

CSMA/CA

WIPS 무선보안

Authentication, Encryption

와이파이 연결 후 대칭키 유도
WPA3 handshake (8단원에서 했죠?)

Home network, visited network